토종벌 낭충봉아부패병에 개량벌통 '효과'
페이지 정보
본문
낭충봉아부패병은 꿀벌의 애벌레가 번데기로 변태되기 전 말라죽게 하는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2009년부터 전국에서 발생해 토종벌 농가에 큰 피해를 줬다.
농진청이 2011년 개발한 개량벌통은 습하고 내부관찰이 어려운 기존 벌통을 개량한 것으로 통풍이 잘되고 질병 감염 시 초기 관찰이 가능하며 벌집의 이동과 여왕벌의 격리가 쉬워 질병 확산을 미리 차단할 수 있게 제작됐다.
실제로 올 초 개량벌통을 사용한 시범농가에서 20군의 봉군을 사육해 5배인 100군으로 증식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농진청은 현장 접목에 성공한 사례를 전국 토종벌 사육농가에 보급하기 위해 11일 충주 허니마을에서 현장평가회를 열 계획이다.
농진청 잠사양봉소재과 최용수 연구사는 "이번 현장평가회를 계기로 관련 기술을 전국 농가에 확산하기 위해 농업인 현장기술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농가에 토종벌 복원에 대한 희망을 전하고 우리나라 토종벌의 안정적 증식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관련링크
- 이전글농진청 ‘낭충봉아부패병’ 예방법 발견 20.08.10
- 다음글'낭충봉아부패병' 방지 벌통 개발 20.08.10